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개발협력분과
“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처와 한국” 추계학술회의
새천년개발목표(MDGs) 종료 시점을 2년여 앞둔 가운데 국제사회는 MDGs를 대체 할 새로운 개발목표 수립을 위한 전지구적 의견 수렴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이에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개발협력분과는 국제개발협력학회(KAIDEC)와 한국국제협력단(KOICA)의 지원으로 Post-2015 개발목표 수립에 있어 국제적 노력을 이해하고자, 이번 여름 부산에서 개최된 하계학술회의에서 제1차 “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쳐의 모색”을 주제로 두 개 세션을 개설하였습니다.
이 연장선에서 Post-2015에 대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함께 한국 정부, 시민사회, 민간부문의 역할과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“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처와 한국”을 주제로 제2차 학술회의를 개최하오니 관심 있는 여러분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
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이호철/국제개발협력분과 위원장 손혁상 배상
□ 제목: 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처와 한국
□ 날짜: 2013년 11월 8일 오후 1:30 ~ 5:30
□ 장소: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523호
□ 주최: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개발협력분과
□ 후원: 한국국제협력단(KOICA), 국제개발협력학회(KAIDEC)
□ 순서
○ 축사: 이호철(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, 인천대)
○ 제1세션(2:00~3:40): “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처와 한국정부”
사회: 손혁상(경희대)
발표 1: “Post-2015 중견국과 한국”/강선주(국립외교원)
◆ 토론 1: 봉영식(아산정책원구원)
◆ 토론 2: 남궁곤(이화여대)
발표 2: “Post-2015 한국정부의 취약국 전략”/김영완(고려대)
◆ 토론 1: 김지영(숭실대)
◆ 토론 2: 임소진(KOICA)
◆ 토론 3: 문경연(고려대)
○ 제2세션(4:00~5:40): “Post-2015 글로벌 아키텍처와 민관협력”
사회: 최진우(한양대)
발표 1: “Post-2015와 한국의 시민사회?? 민경일(KoFID)
◆ 토론 1: 한재광(ODA Watch)
◆ 토론 2: 이연호(연세대)
발표 2: “Post-2015와 민관협력” / 유웅조(입법조사처)
◆ 토론 1: 박인휘(이화여대)
◆ 토론 2: 김유은(한양대)
◆ 토론 3: 맹준호(한국수출입은행)